티스토리 뷰

반응형

카카오톡은 SNS 메신저로 시작해서 그룹채팅을 추가했지만, 결국 메신저에서 벗어나지 못한 프로그램이죠

현실 인맥을 중심으로 한 SNS 메신저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불편해 하는 문제가 지인들의 사생활에 대한 부분입니다

 

카카오톡은 내 현실 인맥을 기반으로 한 메신저이고,

인스타그램, 디스코드 등은 내가 관심을 갖는 인맥 또는 주제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discord.com 에서 공개한 기본 화면
discord.com 에서 공개한 기본 화면

 

디스코드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단순 채팅을 넘어 의견공유, 정보공유, 의사결정, 상태확인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미지, 비디오 공유는 물론 가능하고, 음성채팅, 화면공유가 가능합니다

특히 화면공유는 거의 딜레이가 없기 때문에 영상이나 게임 화면을 보며 실시간 소통할 수 있습니다

 

최근 네팔에서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시민 혁명이 일어났고, 여기서 주축이된 시민들은 디스코드에서 회의를 통해 임시정부 인물을 추천하고 토론하고, 투표를 진행했던 사례가 알려지며 주목 받았죠

 

초기에는 디스코드를 게이머들이 음성대화를 위해 사용했었으나, 현재는 전세계 많은 기업이나 단체, 일반 개인들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기업이나 정부기관, 단체의 경우 디스코드를 이용해 고객지원을 하거나 피드백을 받는 것거나,

기업 내부에서 직원간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스코드에 대한 자세한 사용 설명 보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디스코드 개념

카카오톡은 등록된 지인 목록을 보여주고, 채팅하는 것에서 끝난다면,

디스코드도 친구 추가한 사람끼리 따로 채팅(=다이렉트 메시지)을 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커뮤니티(=서버)를 만들고 목적별로 구분된 방(=채널)을 만들어 주제나 내용에 집중할 수 있는 커뮤니티 플랫폼 입니다

 

디스코드 '서버' 화면 예시

 

서버

카카오톡에서는 그룹채팅을 만들면 거기 한 곳에서 참여한 사람이 모두 동시에 얘기하는 방식이죠

다른 주제나 다른 사람끼리 얘기를 하려면 따로 그룹채팅을 만들어야 합니다

 

디스코드는 서버를 만들고 서버 내에서 주제나 목적별로 카테고리와 채널을 만들어 소통하는 방식 입니다

서버 > 카테고리 > 채널

 

예를들면, 학생이라면 같은 반 디스코드 서버, 동아리 서버를 만들수도 있고,

직장인이나 프리랜서라면 프로젝트 서버, 기업 고객센터,

낚시나 운동 등 취미를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모이는 서버,

가족 서버, 학창시절 친구들과 하는 서버

등 목적이나 지인에 따라 서버를 개설하면 됩니다

 

서버를 만들면 임의의 누구나 초대 링크를 통해 가입하거나

지원서 승인을 받아야 가입하는 등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카테고리를 이용해 서버내에서 채널들을 주제나 목적에 따라 그룹지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별 권한 설정, 알림 설정을 할 수 있고, 그외의 기능은 크게 없습니다

 

채널

채널은 사람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채널은 간단하게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채널의 종류


텍스트 채널을 가장 많이 사용할텐데, 여기서 대화와 자료 공유를 할 수 있습니다

 

음성채널은 음성, 영상, 화면공유를 할 수 있는 채널 입니다

주의사항은 텍스트 채널에 들어가면 채팅할 수 있지만,

음성채널에 들어가면 따로 채팅할 수 있는 공간은 없습니다

음성채널에 들어가고 대화를 종료하려면 전화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연결끊기"를 하셔야 됩니다

 

음성채널 나가기

 

포럼은 특정 주제나 사안에 대해 얘기할 수 있는 채널 입니다

서양에서 주로 쓰이는 '포럼 게시판'을 디스코드에 담은 기능입니다

 


 

디스코드 사용법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막상 사용해보면 금방 적응할 수 있습니다

 

또 이외에 많은 기능이 있으니 다양하게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